교육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의성교육(발명 교육5) (5) 반대로 하기 영국의 과학자 페러데이는 연구를 하다가 전류가 흐르는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원리를 발견한 후 반대로 ‘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면 전류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하고 여러가지 실험을 되풀이하여 마침내 자석을 움직여 자기장을 변화시킴으로써 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였다. 이와 같이 반대로 생각하다보면 좋은 발명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미국의 호우는 삯바느질하는 부인을 돕기 위해 재봉틀의 제작에 나섰다. 하지만 다른 부품은 다 만들었지만 뒤쪽에 구멍이 있는 바늘로는 재봉질이 되지 않아 완성을 할 수 없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그렇게 노력하던 어느 날 꿈에 창이 자기를 향하여 날아오고 있는 것이었다. 깜짝 놀라 창의 끝을 보니 창끝에 구멍이 나 있었다. 잠에서 깬 후.. 더보기 창의성교육(발명 교육4) (4) 모양 바꾸기 산업 재산권은 발명 특허, 실용신안 특허, 의장 특허, 상표 특허의 4가지로 분류하며 이 중에서 모양을 바꾸는 것을 의장 특허라고 한다. 전화기, 선풍기, 시계, 주전자, 컵 등 일상 생활 용품의 전분야에서 편리함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인 만족을 위해서 색깔과 모양을 바꾸어 의장 등록을 하고 있다. 물파스를 바를 때 잡기가 불편하여 잡기 편리하도록 만든 꼬부라진 물파스, 사각 모양의 상을 원형으로 만든 것 등 모양을 바꾸면 발명이 되는 것이 많다. 우리들은 여름에 팥빙수나 슬러쉬를 즐겨 먹는다. 빨대로 빨아먹다가 팥이나 덜 녹은 얼음은 숟가락으로 다시 떠먹어야 한다. 그래서 한 발명가가 빨대의 한쪽 끝을 펴서 숟가락 모양으로 만들어 빨대로도 숟가락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숟가락 달린 빨대가.. 더보기 창의성교육(발명 교육3) (3) 빼기 호주머니 속에 넣어 둔 볼펜의 뚜껑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빠져나가 윗옷이 더러워진 경험을 한 번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화를 내는 것으로 끝을 내지만 좀더 생각해 보면 볼펜의 뚜껑에 결점이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결점만 없앤다면 더 좋은 볼펜이 만들어 져서 좋은 발명품이 될 것이다. 이렇게 뚜껑을 없앤 것이 버튼식 볼펜으로 볼펜심이 버튼에 의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이다.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경우를 열거해 나가다 보면 의외로 좋은 착상이 떠오를 수 있다. 이렇게 우리들이 불편하게 느끼는 것을 빼면 훌륭한 발명품이 되는 것이다. ∙전화기 - 전화선 → 무선전화기 ∙주스 - 당분 → 무가당 주스 ∙자 - 일자형 홈 → 사용이 편리한 자 (제14회 대한민국 학생발명전시.. 더보기 창의성교육(발명 교육2) (2) 더하기 발명의 기법 중에서 가장 쉬운 방법 중의 하나가 ‘더하여 더 좋은 것’이다. 수학에서 1 더하기 1 은 2 이고 답은 정확하게 하나뿐이다. 그러나 발명에서는 1 더하기 1은 답이 1에서 무한대까지 나올 수 있다. 실리콘과 게르마늄을 붙여보자. 양쪽에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반도체가 된다. 이것을 다시 하나 더 붙이면 트랜지스터가 된다. 반도체와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곳은 무한대로 늘어난다. 그것은 현대의 전자제품, 컴퓨터 등 모든 전자 기구에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 이와 같이 더하기 발명은 물건과 물건, 방법과 방법을 더하면 새로운 발명품이 되는 아주 쉬운 방법이다. 주의할 점은 더하여 더 편리하게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발명 활동에서 가장 많이 .. 더보기 창의성교육(발명 교육1) 1. 발명기법 발명품 고안에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흔히 발명 10계명이 많이 활용되었으나 최근 기법을 첨가하여 24가지 기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불편한 점 개선하기 대한민국학생발명품전시회에서 경북 문경시 신기초등학교 김동훈 학생은 참으로 기발한 아이디어로 대통령상을 획득하였다. 5학년인 김동훈 학생은 세면대에서 세수를 하다가 물빠짐 마개가 열려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보고 물의 낭비가 심하다는 것을 늘 느끼고 있었다. “물의 낭비를 줄이고 좀더 편리하게 세수할 수는 없을까?” 이러한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로 마음먹고 선생님과 같이 발명품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수도꼭지 뒷부분에 가운데가 뚫린 부채꼴 모양의 부품을 부착하여 수도꼭지를 누르면 세면기의 물빠짐 구멍을 막음과 동시에 물이 나.. 더보기 창의성 교육 열내번째(연화법) 11. 연화법(Lotus Blossom) 가. 개요 : 일본 크로바 경영 연구소의 마쓰무라 야스오(Matsumura Yasuo)가 창안한 것으로 9장(3장×3장)의 발상카드 중 가운데 발상카드(3칸×3칸)의 중앙칸에 개선할 주제를 적고 연꽃처럼 바깥의 칸을 차례차례 아이디어로 채워나가 주제 개선에 적합한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발상법 나. 활용 방법 1) 아래 그림과 같이 한 세트가 9개인 9칸(3칸×3칸)으로 된 발상카드 중 가운데 발상카드의 중앙에 개선할 주제를 기록 F6 F3 F7 C6 C3 C7 G6 G3 G7 F2 F F4 C2 C C4 G2 G G4 F5 F1 F8 C5 C1 C8 G5 G1 G8 B6 B3 B7 F C G D6 D3 D7 B2 B B4 B 주제 D D2 D D4 B5 B1 B8 .. 더보기 창의성 교육 열세번째(유추법) 10. 유추법(Synetics) 가. 개요 : 시네틱스사를 창립한 고든(W, Gordon)이 개발하였으며 여러 가지 유추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발상법으로 직접 유추, 의인 유추, 상징적 유추, 환상적 유추가 있음 1) 직접 유추 : 서로 다른 두 개념을 객관적으로 비교하여 비슷한 것을 찾아 개선하는 것(예 : 전화기 ↔ 사람, 수화기와 송화기 ↔ 귀와 입) 2) 의인 유추 : 본인 자신이 직접 주제의 일부라는 생각을 가지고 주제의 개선할 부분을 찾는 것(예 : 운동화 끈이 없을 때 → 본인이 신발이 되었을 때 끈을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기) 3) 상징적 유추 : 두 주제 사이의 관계를 상징을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찾는 것(예 : 사랑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다 ↔ 하트 모.. 더보기 창의성 교육 열두번째(마인드맵) 9. 마인드 맵(Mind Map) 가. 개요 : 읽고, 생각하고, 분석하고, 기억하는 모든 것들에 대해 빈 종이 위에 이미지와 핵심 단어 그리고 색과 부호를 사용하여 마음의 지도를 그려나가는 방법으로 토니 부잔(Tony Buzan)에 의해 창안된 ‘사고력 중심의 두뇌 개발 프로그램’ 나. 활용 방법 1) 주제를 나타내는 핵심 단어나 이미지를 종이 한가운데 기록(도형, 그림 사용 가능) 2) 어떤 아이디어라도 판단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머릿속에서 생각이 떠오르는 내용을 핵심 단어로 기록 3) 한 개의 선(가지)에는 한 개의 핵심 단어만 기록 4) 아이디어를 나타내는 핵심 단어는 중심에 있는 제목에 선으로 연결 5) 아이디어를 부각시키고 생각의 연결을 쉽게 자극하기 위하여 색체, 시각적인 그림, 이미지 또는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