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

창의성 교육 열한번째(희망점과 결점 열거법) 8. 희망점과 결점 열거법 가. 개요 : 주제에 대하여 고치기를 희망하는 사항과 결점 사항을 나열하고 각 사항의 해결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여 주제를 개선하는 방법 ☞ 희망점과 결점 열거법을 각각 단독으로 활용하여도 됨 나. 활용 방법 1) 주제를 제시한다. 2) 고치거나 바라는 사항을 기록 또는 발표 3) 잘못되거나 나쁜 점에 대해 기록 또는 발표 4)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는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생각하여 기록하거나 발표 5) 제출되거나 발표한 내용 중 실현 가능성이 있고 좋은 것을 토의하여 선정 6) 선정된 내용을 종합ㆍ정리하여 해결 방법을 개발 ☞ 희망점과 결점을 분리하지 않고 함께 발표하여 정리해도 됨 다. 적용 예 알코올 램프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안을 찾아보자. 부 .. 더보기
창의성 교육 열번째(속성 열거법) 7. 속성열거법(Attribute Listing) 가. 개요 : 네브라스카 대학의 크로우포드 교수가 개발한 것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주제의 명사적 속성, 형용사적 속성, 동사적 속성을 찾아 나열한 뒤 각 속성이나 속성단(group of attributes)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속성들을 개선함으로써 해결책을 찾는 발상법 나. 활용 방법 1) 주제를 정확하게 기술 2) 주제를 분석하여 관계되는 속성을 모두 나열 3) 타당한 속성을 선택하여 명사적 속성, 형용사적 속성, 동사적 속성으로 분류(각 속성의 세부 속성은 5개 내외가 적당) 4) 분류된 속성들에 대해 변경이나 대체 가능한 아이디어를 고안하여 기록 또는 발표 5) 기록 또는 발표된 내용을 토의하여 주제에 대해 가장 좋은 해결안이나 개선안을 개발 다. .. 더보기
창의성 교육 아홉번째(연상법) 6. 연상법(Association) 가. 개요 : 창의성의 중요한 요소인 상상력과 깊은 관계가 있는 연상력을 신장하는 기법으로 자유 연상법과 통제 연상법이 있음 1) 자유 연상법 : 조건 없는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연상을 유도하는 방법 (예 : 「사과」 하면 생각나는 것을 연속하여 말하기) 2) 통제 연상법 : 주제에 대하여 일정 부분 제한된 조건(논리성, 인과성, 유사성 등)을 주고 그 조건 안에서 자유로운 연상을 유도하는 방법(예 : 「지」자로 끝나는 과학 개념 말하기, 「에너지」와 관계되는 낱말 중에서 낱말 끝 글자 따서 말 이어가기, 실험기구 또는 여러 가지 자연 현상 사진이나 그림들을 관련시켜 생각-이미지 연상법) 나. 활용 방법(통제 연상법) 1) 어느 정도 제한된 조건이 있는 주제를 제시 2.. 더보기
창의성 교육 일곱번째(PMI) 4. PMI 가. 개요 : 주제에 대해 좋은 점(󰇁lus), 나쁜 점(󰆾inus), 흥미로운 점(󰆺nteresting)을 발표하고 발표 내용 중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선정 또는 보완하여 개선된 방안을 찾는 방법 나. 활용 방법 1) 주제를 제시 2) 주제에 대해 좋은 점이나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집중적으로 발표 3) 주제에 대해 나쁜 점이나 싫어하는 이유를 집중적으로 발표 4)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점이나 재미있을 내용을 집중적으로 발표 5) 발표된 내용을 분석하고 토의하여 타당성이 있고 주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선정 6) 선정된 내용을 종합ㆍ정리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 ☞ 위 2)(󰇁), 3)(󰆾), 4)(󰆺)를 구분하여 발표하지 말고 생각나는 대로 발표하여도 됨 다. 활용 예 주 제 .. 더보기
창의성 교육 여섯번쨰(스캠퍼) 3. 스캠퍼(SCAMPER) 가. 개요 : 열 개의 사고 과정을 목록으로 작성한 뒤 목록에 따라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방법으로 미국 광고회사 사장인 오스본(Alex Osborn)의 체크리스트법을 에벌리(Bob Eberle)가 재구성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 나. 활용 방법(SCAMPER) 1) 대체하기(󰇄ubstitute) : 기존의 장소, 방법, 내용, 색깔, 소리 등을 다른 것으로 바꿈(예 : 용수철을 고무줄로 대체) 2) 결합하기(󰆴ombine) : 유사한 것, 상이한 것을 서로 결합하거나, 혼합하기 (예 : 맥가이버칼) 3) 적용하기(󰆲dapt) : 다른 분야에서 사용하는 어떤 형태나 원리, 방법을 적용하기 (예 : 조각을 그림으로 표현) 4) 수정하기(󰆾odify), 크게 하기(󰆾agnify).. 더보기
독서노트(예시) 농남중학교(김천 율곡중학교의 전신)에서 사용하던 독서 노트입니다. 당시의 황무길 교장 선생님께 감사드리며.... 더보기
창의성교육 다섯번쨰(브레인라이팅) 2.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가. 개요 : 독일의 홀리게르에 의해 창안된 기법으로 브레인스토밍에서의 발표대신 침묵을 지키며 진행하는 집단 발상 기법으로 사람이 많거나 발표하기가 어려울 때 활용 나. 활용 방법 1) 조 편성 : 조원들이 능력별로 고루 섞이도록 편성 2) 각자 브레인라이팅 활동지 1매씩을 가지고, 예비 활동지는 책상의 가운데에 위치 3)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준수 4) 시작을 알리면 활동지에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기록 5) 아이디어를 활동지에 기록한 뒤 책상 가운데에 있는 활동지와 바꿈 6) 말을 하지 않고 활동지에 쓰여있는 아이디어도 참고해서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활동지를 바꿈 7) 아이디어 발상이 끝나면 기록된 아이디어 중 토의를 통해 가장 좋은 아이디어를 선정 8).. 더보기
창의성 교육 네번째(브레인스토밍) Ⅱ. 창의성 학습 기법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가. 개요 : 오스본(Alex F. Osborn)이 개발한 일종의 집단 토의 기법으로 우리 뇌속에서 폭풍이 치듯이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모두 쏟아 내놓도록 하는 활동 나. 활용 방법 1)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가) 비판엄금 : 비판이나 평가는 절대 금지 나) 자유분방 : 허황하고 비현실적인 내용의 발표도 수용 다) 질보다 양 우선 : 일정 시간 동안 많은 아이디어 산출 라) 결합 및 개선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수정 및 첨가하여 아이디어로 발표 2) 진행 순서 가) 조 편성(4~10명 정도) : 조원들이 능력별로 고루 섞이도록 편성 나) 자리 배열 : 서로 바라볼 수 있는 원탁형의 자리로 배치 다) 사회자(조별 리더) 선출 : 자유분방..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