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언어 교수론

주 제 : 2언어 교수에서의 문화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최근 한국의 젊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신조어(줄임말 포함)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시켜 보십시오.

과목명 :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아이디 :

 

<본문 작성란>

 

. 서론

언어와 문화는 분리하여 생각하기 어렵다. 언어 사용 자체가 하나의 문화이며, 문화는 또 언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은 해당 외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또 하나의 문화를 학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 문화적 관점이 고려되어야만 하는 것도 그와 같은 이유이다. 이러한 문화교육에는 언어문화도 포함되는데 그 언어 문화의 일부분이 신조어(줄임말 포함)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신조어의 교육은 잘 준비된 교육계획에 의해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신조어를 제2언어 학습자에게 교육할 시 잘못하면 부정적 이미지와 민족의 저급성을 교육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신조어에 대한 정의와 교육방안에 대해서 탐구해 보고자 한다.

 

. 본론

1. 신조어에 대한 고찰

'신조어(新造語, Neologism)'란 새로 만들어진 단어 및 용어 가운데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새로 만들어진 낱말을 뜻하며, '새 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신조어는 정착하여 표준어로 등재되기도 하나 유행어나 비속어로서 어느 시점에 사라지는 것도 있다. 신조어가 만들어진 과정은 주로 사회 문화적 환경에 의하여 정치 상황을 반영한 경우, 사회상을 반영한 경우, 연예인이 의도적으로 만든 경우, 광고 방송에서 발생된 경우 등이 있다. 생성 어원으로 구분해 보면 우리 글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졸혼, 츤데레, 간선상차, 내로남불, 오지다 등), 외래어에서 온 신조어(펫팸족, 마리한화, 그루밍족, 1코노미, 스타덤 등), 줄임말에서 온 신조어(버카충, 극혐, 솔까말, 낄낄빠빠, 맥날 등) 등이 있다. 이러한 신조어는 비교적 힘이 없는 사람들이 사용하여 심리적 쾌감을 느끼며, 더러는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하기도 한다.

2. 2언어 교육에서의 신조어 교육의 주의점

신조어의 과도한 사용은 사회 구성원간의 의사 소통을 방해하며 아직 범사회적으로 공인되지 못한 언어로서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기도 하며, 원만한 인간 관계를 해칠 수 있으며, 말하는 이의 인격을 의심하게 하며, 정서적인 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에도 언어가 문화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의 문화로서 신조어를 교육해야 하지만 그 정도를 조정해야만 할 것이다. 신조어에 대한 문화적 배경과 신조어 사용에 대한 태도를 같이 학습시키며, 특히 한국의 예절교육과 더불어 교육함으로서 친구와 나누는 일상대화에서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은 무방하지만 웃어른에게 말할 때나 수업 중에 사용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므로 사용하지 않도록하는 지도가 필요하다.

3. 문화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신조어를 적용한 한국어 교육(약안)

. 학습 내용 : 신조어

. 학습 목표

1) 한국어의 신조어에 대한 예를 들고 그 뜻을 설명할 수 있다.

2)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조어 사용에 대한 단점을 학습하고 실제

회화에 응용할 수 있다.

. 수업 방법

1) 사전 단계(3) : 학습 목표의 제시, 동기의 강화, 브레인스토밍, 스키마 형성

교사>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대박이네요? A학생 요사이 잘쓰는 신조어를 한번 말해 볼래요?

학생> 여러 학생 돌아가며 대답하게 한다.

교사> , 잘했어요. 오늘은 신조어에 대해서 공부해 봐요. 학습목표 판서

2) 본 단계(42) : 전체 학습, 토의 및 발표학습, 개별학습, 조별 학습, 매체 활용 등

(1) 토의 및 발표학습 :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신조어의 종류를 토의 발표한다.

(2) 한국 사회에서의 신조어 사용현황을 비디오로 시청

(3) 토의 발표한 내용과 시청한 비디오 내용을 이용하여 신조어를 분류

정의하고 사용상의 문제점을 조별로 토의 정리한다.

(4) 조별로 정리한 내용을 조원중 한명이 전체 학급에 발표한다.

(5) 교사가 발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판서한다.

() 신조어의 정의 :

() 어원상의 신조어 내용 :

() 신조어 사용상의 좋은점과 문제점 :

() 신조어에 대한 학습자가 가져야 할 바람직한 태도 :

3) 사후 단계(5) : 학습 내용의 확인, 강화, 심화, 자기 평가

(1) 학습자가 수업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

(2) 간단한 평가 및 과제 부과

. 본 수업에서 기대되는 효과

신조어와 문화, 예절을 연계하여 교육함으로서 한국 사회를 이해하여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며, 한국 사회의 인간 관계가 아름다우며 예절을 지키는 사회임을 인식시켜 행복한 한국어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 결론

본 과제에서는 문화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최근 한국의 젊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신조어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시켜 보았다. 한국어문화 교육의 내용으로는 한글과 한국 문화,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 예절 등 다양하게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한국어가 포함되지 않는 문화 교육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신조어도 언어 안에서 문화적 특수성을 이해시켜 품위 있는 한국어 사용자가 되도록 교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또는 참고자료 기재란>

1. 강현화, 이미혜(2013), 한국의 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 Willis J. Edmondson1(2012), 언어교수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3. 네이버(2017), 국어사전

반응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재론 과제  (2) 2024.02.24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비교  (1) 2017.10.23
한국어 음운 변동  (0) 2017.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