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언어 교수론 주 제 : 제2언어 교수에서의 문화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최근 한국의 젊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신조어(줄임말 포함)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시켜 보십시오. 과목명 :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아이디 : Ⅰ. 서론 언어와 문화는 분리하여 생각하기 어렵다. 언어 사용 자체가 하나의 문화이며, 문화는 또 언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은 해당 외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또 하나의 문화를 학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 문화적 관점이 고려되어야만 하는 것도 그와 같은 이유이다. 이러한 문화교육에는 언어문화도 포함되는데 그 언어 문화의 일부분이 신조어(줄임말 포함)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신조어의 교육은 잘 준비된 교육계획에 의해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신조어를 제2언어 학습자.. 더보기
한국어 교재론 과제 주 제 : 교재의 내용 선정 및 배열의 특징 (부부공동학습 교재 ‘알콩달콩 한국어’를 중심으로) 과목명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아이디 : 이 름 : 본 과제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알콩달콩 한국어’를 대상으로 교재의 내용 선정 및 배열을 고찰하고 그 장점과 문제점을 생각해 보면서 아울러 개선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알콩달콩 한국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려는 여성 결혼 이민자 중에서 여건상 기관이나 단체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어려운 여성을 위해 개발한 교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과제에서는 특수 목적 학습자 중 결혼 이민자를 위한 교육과정, 교재의 일반적 내용 선정과 배열에 비추어 논의하고 거기에 맞추어 ‘알콩달콩 한국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알콩달콩 한국어 .. 더보기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비교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1. 사람의 발음 기관 2. 한국어 자음의 조음 위치와 발음법 조음위치 조음방법 기의세기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장 애 음 파열음 평음 ㅂ[p] ㄷ[t] ㄱ[k] 경음 ㅃ[p’] ㄸ[t’] ㄲ[kh] 격음 ㅍ[ph] ㅌ[th] ㅋ[kh] 마찰음 평음 ㅅ[s] 경음 ㅆ[s’] 격음 ㅎ[h] 파찰음 평음 ㅈ[t∫] 경음 ㅉ[t∫’] 격음 ㅊ[t∫h] 공명음 비음 ㅁ[m] ㄴ[n] ㅇ[ŋ] 유음 ㄹ[l/r] 3. 한국어 모음의 발음 혀의 앞뒤 위치 입술모양 혀의높낮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ㅣ[i] ㅟ[ü/wi] ㅡ[ɨ] ㅜ[u] 중모음 ㅔ[e] ㅚ[ö/we] ㅓ[ə:] ㅗ[o] 저모음 ㅐ[ε] ㅏ[a] ㅓ[Λ/ŋ] 1) 모음삼.. 더보기
한국어 음운 변동 그림 출처 : http://wkgks.tistory.com/admin/entry/post/?id=378&returnURL=CLOSEME 음절 끝소리 규칙 음절 끝소리 규칙은 받침이 'ㄱ,ㄴ,ㄷ,ㄹ,ㅁ,ㅂ,ㅇ' 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벗[벋], 부엌[부억], 바깥[바깓] 자음 동화 이 부분의 본문은 자음동화입니다. 비음화 자음동화 비음화 현상은 받침 'ㅂ,ㄷ,ㄱ'이 비음 'ㅁ,ㄴ'을 만났을 때, 'ㅂ,ㄷ,ㄱ'가 'ㅁ,ㄴ,ㅇ'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밥물[밤물], 닫는[단는], 국물[궁물] 유음화 자음동화 유음화 현상은 'ㄴ'과 'ㄹ'이 만났을 때 'ㄴ'이 'ㄹ'로 발음 되는 현상이다.신라[실라], 칼날[칼랄] 구개음화 이 부분의 본문은 구개음화입니다. 구개음화 현상은 받침 'ㄷ.ㅌ' 이 'ㅣ'를 만나면 'ㅈ..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