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의성]교육(발명 교육9) (9) 재료 바꾸기 자동차가 서로 부딪쳐 찌그러졌다면 수리하는데 돈이나 노력이 굉장히 많이 들 것이다. 그러나 일정한 온도만 되면 원래의 형태대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차라면 문제가 달라진다. 자동차 본래 모양이 기억된 온도로만 맞춰 주면 그 차는 스스로 찌그러지기 전의 본래 모양으로 돌아가니 얼마나 편리한가. 실제로 형상기억합금은 아름다운 몸매를 위하여 여성용 브래지어에 사용되기도 한다.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의 재료로 사용되는 석면은 발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선진국에서는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한 기업에서는 석면 대신 아연, 크롬, 망간 등 비철금속으로 만든 비석면 브레이크 패드를 발명하여 국내는 물론 세계 각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그 공로로 특허 기술 대상을 수상하였다.. 더보기 창의성 교육 두번째 2. 창의적 사고 기능과 성향 가. 창의적 사고 기능 (1) 유창성(fluency) 유창성이란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나 반응을 생각해 내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의 과정에서 비교적 초기 단계에 요구되는 기능이라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유창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활성화하여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연상해 보고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해결 방안을 있는 대로 많이 제시할 수 있는 자유로운 사고 활동의 기회 제공과 그들의 다양한 생각을 수용할 수 있는 학습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창의적 사고의 궁극적 목적이 보다 독창적이며 질적으로 우수한 사고를 산출하는 데 있다고 하더라도 아이디어를 가능한 한 많이 산출하게 하는 단계를 거칠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 어떤 주제에 대하여 다.. 더보기 창의성교육 첫번째 1.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기법 국내도서 저자 : 정창덕 출판 : 월송 2013.08.27상세보기 가. 창의성 창의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인지능력을 강조하는 Guilford(1970)는 ‘새롭고 신기한 것을 산출하는 힘’이라고 정의하였고, Rogers(1962)는 ‘하나의 새로운 결과를 야기하는 행동의 출현이며 그것은 그 개인의 특성과 개인을 둘러싼 사건, 사람, 자료, 자기의 생활사의 어떤 상황 등에서 생성되는 과정’이라 하였으며, Torrance(1977)는 ‘곤란한 문제를 인식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이디어를 내고, 가설을 세워 검증하며, 그 결과를 전달하는 과정’이라 정의하였다. 최근에 이루어진 창의력 연구에서 Lubart(1994)는 창의력을 ‘무엇인가.. 더보기 이전 1 다음